안녕하세요. 세무법인위더스 김정철세무사입니다.
사업자등록을 할 때 업종코드를 조회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는 경비율을 확인하기 위해서 업종코드를 확인할때가 있죠.
홈택스 사이트가 25년 들어 개정이 되어 개편된 화면을 반영한 홈택스 업종코드 조회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1.업종코드 의미
2.업종코드, 경비율 조회 방법
1.업종코드 의미
업종 코드란 국세청이 세금을 편리하게 관리하기 위해 서비스업, 제조업, 건설업 등 다양한 업종을 구분해 놓은 6자리의 번호입니다.
업종 코드는 사업자가 내야 할 세금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 때문에, 인터넷에 “아 이게 내가 운영하는 사업장과 비슷하겠구나”라고 생각하고 아무렇게나 번호를 정해서 사업자등록을 하면 나중에 아주 난감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국세청은 기준경비율, 단순경비율, 부가세 면제 여부 등을 업종 코드마다 다르게 적용하고 활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경비율을 짧게 설명드리면 돈을 벌기 위해 사용한 경비들이 있을 겁니다. 교통비, 임대차 비용, 인건비 등등 말이죠. 경비율은 그걸 얼마나 인정해 주냐를 표현한 것이죠, 수입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경비율 인정이 높을수록 세금도 적게 내는 편입니다.
2.업종코드 경비율 조회 방법
STEP1. 홈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해 줍니다.
참고로 업종코드 조회할 때는 홈택스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조회가 가능합니다.
STEP2. 상단 메뉴에서 세금신고를 찾습니다.
왼쪽 상단에 전체메뉴 세금신고 – 종합소득세 신고 – 신고 도움 자료 조회 – 기준 단순경비율(업종 코드) 조회를 찾아줍니다.

STEP3. 메뉴를 잘찾았다면 아래와 같은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EP4. 업종코드를 입력하고 검색을 입력해 봅니다.

STEP5. 2024년 귀속 기준·단순 경비율은 한달 뒤네요. 2025년 4월 이후 조회 가능합니다.

STEP6. 귀속연도를 변경해서 업종코드를 조회하면 해당 귀속연도에 경비율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년도나 전전년도인 23년도 22년도의 경비율 조회도 가능한거죠.
